[GA4] 표준보고서 이상의 보고서 : 탐색 분석 보고서(1)
이번 강의에서는 ” 탐색 분석 보고서 ”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보고서의 기본 사용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잠재고객, 측정기준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더 상세하게 파악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이벤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고 이를 활용한다면 표준보고서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을 원활하게 진행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것은 표준보고서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었습니다.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에 서 페이지 관련 데이터를 분석했고, 이벤트 보고서에서 이벤트 관련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사실, 실무에 들어가시게 되면 데이터 분석 업무는 이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페이지 데이터와 이벤트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 같은 복합적인 주제의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우리는 표준 보고서 이상의 보고서가 필요하게 됩니다. 지금부터 알아볼 “ 탐색 분석 보고서 ”가 필요해지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탐색 분석 보고서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배운 보고서는 구글애널리틱스4 (GA4) 가 제공하는 특정 주제를 단순화하여 제공하는 “표준 보고서” 입니다.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에서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만을, 이벤트 보고서에서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복합적인 주제를 분석하는 데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다행히 구글애널리틱스4 (GA4) 는 표준 보고서 외에도 ” 탐색 분석 보고서 ” 를 통해 여러가지 형태의 보고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탐색 분석 보고서
① GA4 메뉴에서 [탐색] 을 선택합니다.
탐색 분석 페이지에는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각종 보고서들이 표시 됩니다.
여기서 2개의 보고서를 살펴 보겠습니다.
① Shopping Behavior Funnel
② Behavior Flow Path
1.1 Shopping Behavior Funnel 보고서
” Shopping Behavior Funnel ” 을 클릭하면 우리가 지금까지 봤던 보고서와는 전혀 다른 형태의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보고서는 “유입경로 탐색 분석” 이라는 기법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쇼핑 행동 (shopping behavior)을 표시하는 보고서 입니다.
분석을 해보면, 상품 조회 사용자의 30.3% 정도가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는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2 Behavior Flow Path 보고서
“Behavior Flow Path” 를 클릭하면 “경로 탐색 분석” 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순서로 행동했는지를 확인하기 좋은 보고서 입니다.
여기서는 page_view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Home에 많이 접속하고 그 이후로 여러 페이지로 접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3 탬플릿 갤러리
① 탐색 분석 페이지 우측 상단의 [탬플릿 갤러리]를 선택합니다.
탬플릿 갤러리 페이지에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여러 가지 보고서 탬플릿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1.4 자유 형식 보고서
“자유 형식” 을 선택하면 위와 같이 “시/군/구” 의 “기기 카테고리” 별 “활성 사용자” 데이터가 표시되는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면 왼쪽의 측정항목에 표시된
① “이벤트 수”를 마우스로 드래그 합니다.
② 오른쪽 값 영역의 “활성 사용자” 아래로 끌어다 놓습니다.
위와 같이 값 영역의 “활성 사용자” 아래에 “이벤트 수”가 놓인다면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표를 다시 살펴보면 “활성 사용자” 오른쪽에 “이벤트 수”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설정에 따라 표의 데이터가 재구성된 것 입니다.
“비어 있음” 또는 “자유 형식” 의 탐색 분석 보고서를 바탕으로 우리에게 딱 맞는 보고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학습할 구글애널리틱스4 (GA4)에 대한 지식은 모두 탐색 보고서를 잘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FAQ
탐색 분석 보고서와 Looker Studio 중 어떤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사실, 제일 좋은 방법은 탐색 분석 보고서 보다는 BigQuery를 사용한 다음 이를 Looker Studio 에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Looker Studio 에는 커뮤니티 탬플릿 라이브러리와 같은 뛰어난 기능도 있어 구글이 설계한 제한 사항을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BigQuery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제어 및 변환하고 다른 소스에 결합하여 완전히 향상된 데이터 소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표준 보고서와 탐색 분석 보고서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표준 보고서는 기본적인 데이터 개요에 대한 내용을 표시합니다. 상세하게 분석하고 세그먼트, 측정기준, 측정항목 기준으로 데이터를 조회 하려면 탐색 분석 보고서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상세한 데이터를 확인할 때는 탐색 분석 보고서를 사용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