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맞춤 캠페인 링크 (UTM 태그) 분석하기
이번 강의에서는 ” 맞춤 캠페인 링크 ” ( UTM 태그 )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설명드렸던 ” 획득 보고서 ” 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수강 안하신 분들은 먼저, 수강하시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셜(Social) 광고를 진행한다고 가정해봅니다. 사용자의 반응이 좋아서 광고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수가 늘어났습니다.
이때, 우리는 광고를 통한 사용자의 접속을 분석할줄 알아야 합니다. 사용자가 유튜브 광고 링크로 들어왔는지, 페이스북 광고 링크로 들어왔느지 혹은 A유형의 광고를 클릭했는지 B유형의 광고를 클릭했는지 분석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이번 코스에서는 캠페인 링크 또는 UTM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맞춤 캠페인 링크 란?
웹 사이트가 완성이 되면 고객 획득을 위한 여러 가지 마케팅이 진행됩니다. 네이버 검색광고, 구글 검색광고, 페이스북 게시물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네이버에서 어떤 검색어로 또는 페이스북에서 어떤 배너로 고객이 유입 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캠페인 링크는 페이지 주소에 구글 애널리틱스가 인식할 수 있는 특수한 매개변수를 추가(UTM태그) 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사용자를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이번 코스에서 캠페인 링크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키워드를 이용하여 네이버에서 검색 후 파워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① “위메프 청바지”를 네이버에서 입력 후 검색을 하면 [파워링크]에 위메프 청바지 …. 라는 광고가 노출이 되고 우리는 그 광고를 클릭하여 웹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웹사이트로 이동 후 주소표시줄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URL이 표시가 됩니다.
주소를 보시면 익숙한 단어가 몇 개 보일 것입니다.
source, medium, campaign 입니다.
지난번 코스에서 소스/매체, 캠페인 이라는 용어를 배울 때 영문 용어도 기억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캠페인 링크는 링크에 삽입되어 있는 utm_source, utm_medium, utm_campaign, utm_term, utm_content 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1.3 맞춤 캠페인 링크 구성
구글애널리틱스4 (GA4)는 사용자가 페이지에 접속하면 page_view 이벤트를 수집합니다. 이때 페이지의 주소가 캠페인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면 구글애널리틱스4 (GA4) 는 주소에 기록해둔 소스/매체/캠페인 정보를 같이 수집합니다.
캠페인 링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파라미터)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위의 주소 예제를 다시한번 확인해 보면
위와 같이 매개변수와 매개변수 값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를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 utm_로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4 (GA4)는 utm_로 시작하는 매개변수를 캠페인 매개변수로 인식하고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그래서 캠페인 매개변수를 “UTM매개변수”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위의 표를 해석 해보면
“이 링크는 네이버(naver)에서 키워드(위메프청바지)를 검색해서 cpc광고(cpc)를 통한 사용자 유입을 추적하는 캠페인(r_sa) 링크” 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1.2 트래픽 획득 분석하기
트래픽 획득 분석은 앞에서 살펴본 사용자 획득 분석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소스, 매체, 캠페인을 중심으로 세션 획득을 분석합니다.
‘소스, 매체, 캠페인’ 이라는 용어를 바탕으로 트래픽 획득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먼저 비어 있는 탐색 분석 보고서를 실행합니다.
여기서는 “캠페인 링크를 통해 발생한 세션수 확인”을 분석 목표로 하겠습니다.
분석 목표인 “캠페인 링크를 통해 발생한 세션수 확인”에 맞춰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캠페인 링크의 세션수’ 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① 검색창에서 “캠페인”을 입력합니다.
② 측정기준 목록에서 [세션 캠페인]을 선택합니다.
이번엔 측정항목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① 검색창에서 “세션수”를 입력합니다.
② 측정항목 목록에서 [세션수]를 선택합니다.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추가하셨다면 [탭 설정] 영역에 추가한 측정기준과 측정항목을 등록합니다.
① 행 영역에 “세션 캠페인”을 등록합니다.
② 값 영역에 “세션수”를 등록합니다.
이제 결과를 확인합니다.
세션을 시작한 캠페인의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organic), (direct), (not set), (referral)을 제외 한 값들이 페이지 주소의 캠페인 매개변수에 해당합니다.
이제 ‘캠페인 링크의 세션수’를 확인한다는 목표는 달성했습니다.
그런데 캠페인 링크를 확인할 때는 한 가지 더 확인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캠페인 링크는 마케팅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캠페인 링크로 어느 정도의 수익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세션수와 수익을 비교하여 세션당 어느 정도의 수익을 발생시켰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일단, 측정항목을 하나 더 추가합니다.
① 검색창에서 “수익” 을 검색합니다.
② 측정항목 목록에서 [총 수익]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방금 전과 같이 [값 영역]에 “총 수익” 측정항목을 등록합니다.
이제 결과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여기서는 “Jan2023_LunarNY_V1” 캠페인이 세션수는 2,445 이지만 총 수익이 $7,095.76 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반응(수익)이 좋은 캠페인이므로 해당 테마로 세 번째(V3) 캠페인을 진행하는 것도 좋습니다.
2. 맞춤 캠페인 링크 (UTM태그) 생성
캠페인에서 사용되는 매개변수에 대해 이해를 하셨으면 지금부터는 쉽게 캠페인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겨울 프로모션’ 이라는 캠페인 링크를 함께 만들어 보겠습니다.
2.1 소스, 매체, 캠페인 설정
캠페인 링크를 만들 때 가장 먼저 진행하는 것은 광고를 ‘소스, 매체, 캠페인’으로 정의하는 것입니다.
해당 광고를 어떻게 말할지(utm_campaign), 해당 광고를 어디에 노출 할지(utm_source), 해당 광고를 어떤 방식으로 운영할지(utm_medium)를 생각하고 정리하는 것입니다.
위의 표에서 보면 ‘겨울 프로모션’이라는 이름의 캠페인(캠페인 이름)을 네이버(소스)에 cpc(매체) 방식으로 올릴 때를 가정한 UTM 매개변수 입니다. 어떤 이름으로,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올릴지를 생각하면 쉽게 정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겨울 프로모션을 블로그에 외부 링크’로 올린다고 하고 각자 어떤 방식으로 UTM 매개변수를 만들 수 있을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 캠페인 링크와 소스는 쉽게 떠올렸고 매체는 고민을 조금 했을 것입니다. 블로그에 외부 링크를 올리는 것이니 매체는 referral로 설정하면 될 것입니다.
2.2 맞춤 캠페인 링크 직접 만들기 (UTM태그 생성)
UTM 매개변수 정리가 완료되면 랜딩페이지 주소에 해당 매개변수들을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매개변수는 물음표(?)로 시작하고 앰퍼샌드(&)로 덧붙인다는 것을 떠올리면서 캠페인 링크를 만드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쉽게 캠페인 링크(UTM태그)가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캠페인 링크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utm_source)에 cpc광고(utm_medium)로 올린 겨울 프로모션”
2.3 맞춤 캠페인 URL 빌더로 캠페인 링크 생성
이번엔 구글에서 제공하는 캠페인 URL 빌더로 캠페인 링크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직접 입력 시 오타나 실수가 있을 수 있으나 이렇게 빌더로 생성하면 좀 더 안전하게 링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캠페인 URL 빌더는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https://ga-dev-tools.web.app/ga4/campaign-url-builder/
① 접속 후 왼쪽 메뉴를 살펴 보면 ‘UA’ 와 ‘GA4’ 를 선택하는 곳이 나옵니다. 여기서 ‘GA4’를 선택합니다.
캠페인 URL 빌더 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입력 양식에 맞춰 웹사이트 URL(랜딩페이지 주소)을 입력하고 미리 정의한 UTM 매개변수를 campaign source, campaign medium, campaign name에 맞춰 입력합니다.
이때 캠페인 URL 빌더의 입력 양식을 살펴보면 utm_campaign, utm_source, utm_medium 외에도 몇 가지 UTM 매개변수를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위와 같습니다.
소스, 매체의 경우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값이며 나머지는 필요할 경우에만 입력하는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캠페인을 구분하기 위해 캠페인 이름(utm_campaign)은 소스, 매체와 함께 필수적으로 입력하는 편입니다.
나머지는 캠페인을 좀 더 상세하게 정의하고 싶을 때 선택적으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FAQ
맞춤 캠페인 링크 (UTM태그) 어떻게 동작하나요?
구글 웹로그 분석에서 맞춤 캠페인을 추적할 수 있도록 URL에 캠페인 매개변수를 쉽게 추가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URL 중 하나에 UTM 추적 매개변수를 첨부하고 이를 마케팅 캠페인의 일부로 개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URL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맞춤 캠페인 빌더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1단계: 방문자를 웹사이트로 안내하는 데 사용할 링크를 입력합니다.
2단계: 추적하려는 세 가지 주요 매개변수를 추가합니다.
3단계: “URL 복사”를 클릭하고 일반 “태그 없는” 링크 대신 이메일 뉴스레터(광고, 소셜 등)에 붙여넣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