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참여도 개요 보고서 살펴 볼까요?
이전 강의에서 배운 GA4 기본 용어들을 떠올리면서 참여도 개요 보고서 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보고서를 분석하고 확인한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분석을 하게 되면 받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질문들이…
- 웹사이트 방문자는 몇명인가요?
- 웹사이트 페이지 조회수는 어느정도 되나요?
- 고객들이 웹사이트에 얼마나 머물다가 가나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우리는 참여도 개요 보고서 데이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 참여도 개요 보고서 (참여 데이터)
1.1 참여도 개요 보고서 : 평균 참여 시간
평균 참여 시간은 이전 강의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평균적으로 이용한 시간을 말합니다.
1.2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평균적으로 몇번 이용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그림 2]에서는 1.2 로 나타납니다.
즉,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횟수는 1.2 인 것입니다. (즉, 1.2번만 웹사이트를 이용하고 다시 오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혹시, 웹사이트 컨텐츠가 매력적이지 않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 없는지 확인해봐야 할 것입니다.
1.3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세션당 평균 참여 시간
사용자는 세션당 평균 1분 06초 동안 웹사이트를 이용합니다. [그림 3] 세션당 평균 참여 시간이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좋은 징조이나 평균 시간이 1분 06초란 것이 너무 짧은 시간입니다.
만약, 쇼핑몰이면 상품을 구매하기까지 1분이 훨씬 넘는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래서,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도 늘려야 하지만 세션당 평균 참여시간도 역시 늘려야 합니다.
1.4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가 몇 명이었는지 그리고 어떤 페이지들을 주로 조회를 하였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5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조회수와 이벤트 수
조회수(Views) 는 사용자가 페이지나 화면을 얼마나 많이 보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4 (GA4) 는 페이지 조회 (page_view) 이외에 여러가지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GA4가 수집하는 이벤트의 총수가 [이벤트 수]에 표시됩니다.
물론, 이 값만으로는 의미를 알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GA4의 모든 이벤트 수 합산이라 중요 이벤트가 아닌 것들도 합산됩니다.
따라서, 이벤트의 상세한 값을 알고 싶을 때는 이벤트 보고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6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이벤트 이름 별 이벤트 수
구글애널리틱스4 (GA4)가 수집한 이벤트를 이름별로 확인합니다.
이벤트 이름에 대한 부분은 향후,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7 참여도 개요 보고서 : 페이지 제목 및 화면 클래스별 조회수
사용자가 어떤 페이지를 조회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이벤트 보고서
이벤트 보고서를 사용해 각 이벤트를 트리거한 사용자 수와 각 이벤트와 연관된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8] 에서 나오는 이벤트 이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향후, 이벤트 보고서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3.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
[참여도] > [페이지 및 화면] 으로 이동합니다.
3.1 조회수
조회수는 사용자가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를 본 횟수를 의미합니다.
만약, 사용자가 페이지를 10번 봤다면 조회수는 10이 됩니다.
❉ 여기서 잠깐!!
구글 애널리틱스 4 (GA4) 는 웹과 앱을 모두 분석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를 조회를 했는지 또는 앱에서 앱 화면 조회를 했는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벤트 명 중에서 “page_view” 이벤트는 웹페이지 조회 이벤트 이고 “screen_view” 이벤트는 앱 화면 조회 이벤트 입니다.
조회수는 page_view + screen_view의 수를 더한 값이 표시됩니다.
3.2 사용자와 사용자당 조회수
웹사이트의 조회수가 100일때 사용자수가 10이면 사용자당 조회수는 10이 됩니다.
[그림 9] ①에서 “Shopping Cart”의 사용자당 조회수를 확인해 보면 “3.25” 다른 페이지보다 2배 높은 수치 입니다. 즉, 고객들이 장바구니를 자주 본다는 의미 입니다.
따라서, 장바구니를 어느 페이지에서 든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3.3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 분석해 보기
구글애널리틱스4 (GA4) 의 보고서는 크게 두가지 타입 (개요 보고서와 상세 보고서) 으로 나누어 집니다.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 개요 보고서 : [수명 주기] > [참여도] > [참여도 개요] 보고서
- 상세 보고서 : [수명 주기] > [참여도] > [페이지 및 화면] 보고서
개요 보고서는 말 그대로 요약 보고서 입니다. 실제로 업무를 진행할 때는 상세 보고서를 많이 보게 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분석을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고객들이 제일 많이 보는 페이지가 어디인가요?
- Home 페이지의 평균 참여 시간이 정상인가요?
- Home 페이지 사용자당 조회수는 왜 1.65 밖에 안나오는 걸까요?
예를 들면,
현재 Home 페이지 조회수는 다른 페이지 보다 2배 가량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각자 여러가지 생각을 할 수 있지만 Home 페이지 조회수가 높은 이유는 아마도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 웹사이트의 메인 페이지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만약, 반대로 Home 페이지 조회수가 다른 페이지보다 낮을 경우는 어떨까요? 아마도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시작 페이지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 경우이니까요.
4. 방문 페이지 보고서
방문 페이지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처음으로 보게 되는 페이지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해서 웹사이트의 의류 페이지로 연결되면 사용자가 방문한 의류 페이지가 방문 페이지가 됩니다.
방문 페이지 보고서는 방문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도달한 첫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4.1 방문 페이지 보고서 용도
웹사이트 메인페이지에 방문한 사용자는 2가지 종류로 나누어 집니다.
① 네이버를 통해 우리 웹사이트 메인페이지 처음으로 들어온 고객
② 네이버를 통해 우리 상품페이지에 들어왔다가 메인페이지로 이동한 고객
여기서 ① 고객의 데이터만 별도로 볼 수 있는 곳이 [방문 페이지] 보고서 입니다. 이 부분이 [모든 페이지] 보고서와의 차이점 입니다.
그리고, 구글애널리틱스4 (GA4) 지표를 분석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만나기도 합니다. 이 때 [방문 페이지] 보고서를 살펴 보시면 아래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페이지 유입수 중 자연유입 비율과 유료광고유입 비율은 각각 얼마나 될까요?
- 메인 페이지 외에 어떤 페이지가 사용자 유입이 가장 많을까요?
- 페이지별로 특정 행동에 대한 전환율 차이가 있을까요?
이렇게 해서 참여도 개요 보고서 및 상세 보고서를 살펴 봤습니다.
참여도 보고서는 구글애널리틱스4 (GA4)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고서 중에 하나 입니다. 특히, 고객 유입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고 싶을 때 반드시 봐야 하는 보고서 입니다.
이번 강의는 간단한 정보만 확인했습니다. 추후, 좀 더 상세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FAQ
참여도 개요 보고서 참여 세션에서 사용자가 페이지를 스크롤하지만 세션이 10초 미만 지속되는 경우 해당 스크롤 동작과 관계없이 여전히 이탈 세션으로 계산됩니까?
참여 세션은 다음과 같은 세션입니다.
- 10초 이상 접속이 지속 되는 세션
- 하나 이상의 전환 이벤트가 있는 세션
- 두 개 이상의 페이지 뷰가 있는 세션
이 부분을 참고해서 판단하시면 될 듯 합니다.
참여도 개요 보고서 세션 이탈 시간 (10초) 에 대해 관리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나요? (20초 또는 30초)
참여 세션 타이머 조정은 가능합니다.
[데이터 스트림] > [웹 스트림 세부정보]의 태그 설정 더보기 > [세션 제한 시간 조정] 에서 10초 ~ 60초 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