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새 계정 추가 화면에서 [계정 이름] , [국가] , [컨텐이너 이름] , [타겟 플랫폼] 을 입력합니다.
③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 여기서 잠깐!
컨테이너 (Container) 란? 구글태그관리자 (GTM) 에서 태그, 트리거, 변수 등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컨테이너” 라 말합니다. 하나의 계정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어서, 사용자별 또는 환경별 (웹,앱) 로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하나의 계정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1.2 서비스 이용약관
구글 태그 관리자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약관 입니다.
[그림 2] 구글태그관리자 서비스 이용약관
① [예] 를 클릭합니다.
1.3 설치 스크립트 확인
구글 태그 관리자 (GTM) 을 웹사이트에 설치 하기 위해서는 아래 스크립트가 필요합니다.
나중에, 관리자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닫아도 상관없습니다.
[그림 3] 구글태그관리자 스니펫
① … 태그 안에 들어갈 스크립트 입니다.
② … 태그 안에 들어갈 스크립트 입니다.
※ 여기서 잠깐!
[그림 4] Google 태그 관리자 설치
구글 태그 관리자 (GTM) > [관리자] > [Google 태그 관리자 설치] 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따라 오셨으면 구글 태그 관리자 (GTM) 계정 생성은 완료됩니다.
그럼, 이제 여러분들께서 운영중인 웹사이트에 구글애널리틱스4 (GA4) 를 적용해야 하는데 현재 웹사이트를 운영중에 있으신 분들은 상관 없으시지만 웹사이트가 아직 없으신 분들께서는 실습을 못할 수도 있어서 제가 “티스토리” 블로그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금부터의 강의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구글 태그 관리자 (GTM)를 설치하는 내용입니다.
만약, 웹사이트 운영중이신 분들은 이 내용을 보시고 응용해서 넣어주시면 됩니다.
향후에는 구글태그관리자 (GTM) 클래스에서 아주아주 자세히 솔루션별 (워드프레스, 카페24, 메이크샵, 고도몰, 블로그 등) 로 예를 들어 전부 설명 드리겠습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
자~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2. 티스토리 블로그에 구글태그관리자 (GTM) 설치하기
[그림 5] 티스토리 블로그
① 로그인 후 화면 우측 상단에 Profile 아이콘을 클릭
② 해당 블로그 설정 버튼 클릭
[그림 6]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메뉴
블로그 관리자 화면 좌측에 보시면 관리자 메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① [꾸미기] > [스킨편집] 을 클릭합니다.
[그림 7]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편집
① 우측 상단에 있는 [html 편집]을 클릭합니다.
[그림 8] 좌:티스토리 HTML 편집화면 / 우:구글태그관리자 스크립트
이 부분은 조금 더 집중해서 보셔야 할 듯 합니다.
이제 구글 태그 관리자 스크립트를 삽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1.3 에서 설명 드렸듯이 구글 태그 관리자는 2가지로 나누어 집니다.
① … 에 삽입되는 스크립트
② … 에 삽입되는 스크립트
html 편집기에서 부분을 찾으신 다음 … 사이에 구글 태그 관리자 (GTM) ①번 스크립트를 삽입합니다.
html 편집기에서 부분을 찾으신 다음 … 사이에 구글 태그 관리자 (GTM) ②번 스크립트를 삽입합니다.
작업을 완료하셨으면 ③ [적용] 을 클릭해서 저장합니다.
어떠신가요? 간단하죠? ^^
티스토리 외 다른 사이트에서 작업하시는 분들도 이 부분만 잘 기억하시면 언제든지 작업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이제 실질적인 구글애널리틱스4 와 웹사이트를 연결하기 위해 구글태그관리자 (GTM) 에서 “태그”를 생성하셔야 합니다.
3. 구글태그관리자 (GTM) 설정
[그림 9] 구글태그관리자 태그 생성
① [태그] 메뉴를 클릭합니다.
② [새로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그림 10] 구글태그관리자 태그 설정
① [태그 이름] 을 입력합니다.
② [태그 구성] 영역을 클릭합니다.
[그림 11] 구글태그관리자 태그 유형
① [Google 애널리틱스 : GA4 구성] 을 클릭합니다.
[그림 12] 구글태그관리자 태그 구성
① [측정 ID] 를 입력합니다.
② [트리거] 영역을 선택합니다.
※ 여기서 잠깐!
측정ID란? 기존 구글애널리틱스 (GA) 에서 사용했던 “추적ID” 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속성별로 부여되는 고유한 ID 입니다. 해당 ID로 웹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게 됩니다. 측정 ID는 GA4 속성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Com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