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구글애널리틱스4 일단 시작하자
이번 강의의 목표는 ” 구글애널리틱스4 (GA4) ” 를 일단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석도구 중에 왜 하필 구글애널리틱스4 (GA4) 를 사용해야 할까요? 이 부분부터 설명을 드리고 시작하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 데이터 분석 ” 에 대해 원론적인 이야기와 ” 데이터 분석 도구 ” 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만약, 지난 강의를 못 보신 분들은 화면 왼쪽 메뉴를 이용하거나 바로 아래의 링크를 통해 먼저 학습을 하시고 오시면 좋을 듯 싶습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수 많은 분석 도구 중에서 기업에 맞는 분석 도구를 찾는것이 쉬울 수도 어려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는 것이 처음이시라면 저는 ” 구글애널리틱스 (GA) ” 를 추천 드리겠습니다. 물론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왜 수 많은 분석 도구 중에서 구글애널리틱스 (GA) 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구글애널리틱스4 (GA4)를 사용하는 5가지 이유
1.1 무료 서비스
지난 강의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전 세계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하는 이유 중 첫번째가 “무료 서비스” 이기 때문입니다.
웹사이트와 구글 계정만 가지고 있으면 언제든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유료 버전도 존재합니다. 가격은 기본적으로 1년에 15만달러 정도 합니다.
1.2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 시스템은 타 유료 솔루션 만큼 뛰어난 분석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고객의 데이터를 100가지가 넘는 보고서를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보고서를 직접 만들어 활용할 수 있고 세그먼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보다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종 유입 매체를 분석하고 이벤트를 생성하여 특정 상황에 맞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1.3 구글에서 제공하는 다른 솔루션과의 연계성
구글 광고 솔루션 구글애즈, 태그 관리 솔루션 구글태그매니저, 시각화 솔루션 구글데이터스튜디오, A/B테스트 솔루션 구글옵티마이즈 등 데이터 분석 시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과의 연계 능력이 탁월합니다.
1.4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
2005년 부터 시작되어 온 구글 애널리틱스는 마케팅, 분석 트랜드에 맞게 계속해서 진화되고 있습니다.
오히려 사용자들이 그 진화되는 기능들을 쫓아가지 못할 정도 입니다.
어느 날, 구글애널리틱스를 들어가면 메뉴명 끝에 [Beta]라는 이모티콘이 보이면서 새로운 메뉴가 나온걸 볼 수 있습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분석 보고서들을 그 시기에 맞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주고 있습니다.
1.5 데이터 통합성
CRM, ERP 등의 데이터를 GA 에 Import 할 수 있습니다. 즉, 기존 고객 데이터를 GA에 Import 하여 식별데이터 (고객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 비식별데이터 (고객 정보없이 행동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를 통합하여 함께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CRM 데이터에는 고객의 정보만 있지 해당 고객이 웹/앱 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고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즉, 식별 데이터)
반면, 로그 데이터에는 회원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즉, 비식별 데이터) 따라서,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행동 패터이나 경험에 대한 데이터는 수집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두 데이터를 통합하여 더 깊이있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 입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몇가지만 요약해서 설명드렸습니다.
2. 구글애널리틱스4 (GA4)는 어떻게 활용 될까요?
보통 기업에서 KPI(핵심성과지표)라고 부르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KPI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다수의 기업에서 말하는 KPI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생각을 하게 됩니다.
- 웹사이트 방문자 유입률 증가
- 상품 조회수 증가를 통한 구매 증가
- 온라인 광고를 통한 고객 유입률 증가
- 전체적인 매출 증가
이 외에도 기본적으로 결정되는 KPI가 더 있지만 이번 강의에서는 이 정도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러한 KPI를 설정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첫 강의에서 말씀드린 “데이터” 입니다.
우리는 KPI 설정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KPI 달성을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합니다.
[표 1]을 보시면 시나리오, 시나리오와 관련된 측정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시나리오 또는 측정항목은 데이터와 분석 방향 등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정답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렇게 정의된 시나리오와 측정항목을 ” 구글애널리틱스 (GA) ” 통해 데이터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 인사이트 ” 를 도출하게 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GA) 는 많은 분석도구 중 하나입니다. 즉, 다른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데이터 분석을 시작할때 접근성이 좋은 분석도구를 찾는다면 저는 ” 구글애널리틱스 (GA) ” 를 추천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 구글애널리틱스4 (GA4) ” 에 대한 강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두둥~
강의 중간에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을 통해 문의 남겨 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3. 구글애널리틱스4 (GA4) 정의
구글 애널리틱스는 2005년 Google 에서 Urchin Software Corporation 을 인수한 이후 이 서비스를 런칭 하였고 현재까지 전세계 웹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분석 서비스 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가 과거부터 발전해오는 과정을 아래 그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웹사이트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방문자들의 유형, 웹사이트내 또는 유입 채널별 행동, 이벤트 행동 데이터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장 많이 알려진 2013에 발표된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Universal Analytics, GA3)는 향상된 전자상거래 기능을 통해 많은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쓰이게 됩니다. 물론, 일반 웹사이트도 마찬가지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시대의 흐름에 맞게 전 세계적으로 전체 웹사이트의 55.7%에서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트래픽 분석 도구 시장 점유율 85.9% 입니다.
(웹사이트의 35.2%는 트래픽 분석 도구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국내외 분석 툴 (Adobe Analytics, Webtrends, AceCounter, Logger 등) 보다 많이 사용 되었던 이유는 아무래도 서비스 이용료가 “무료” 라는 가장 큰 장점이 있었고 뛰어난 확장성과 데이터 통합성 그리고 다양한 분석기법을 적용한 기능들 때문에 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이후 Google에서는 2020년 10월에 공식적으로 새로운 버전인 구글 애널리틱스 4 (Google Analytics 4, GA4)를 출시 하였습니다.
출시 시점에 많은 분들이 GA4 에 대한 명확한 정보가 없어서 기존에 사용했던 GA3 버전을 GA4 로 변경해야 되는지, GA3 버전에 비해 어떠한 것들이 좋아졌는지 등 GA4에 관해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솔직히, 지금까지도 GA3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Google 에서는 2020년 3월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에 중요한 공지를 하게 됩니다.
2023년 7월 1일부터 표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은 더 이상 신규 조회를 처리하지 않습니다.
“><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UA) 기능 지원 중단 예정 공지 >
공지내용을 다시 정리하자면…
“2023년 7월 1일부터 표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은 더 이상 신규 조회를 처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2023년 7월 1일 이후 적어도 6개월 동안은 이전에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엑세스 할 수 있습니다.” 라고 공지를 하였습니다.
구글애널리틱스의 유료버전인 “구글 애널리틱스 360 (Google Analytics 360, GA360)” 은 2023년 10월 1일까지 일회성으로 연장된 처리 기간이 주어진다고 공지를 하였습니다.
자~ 그럼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 개인적으로는 지금부터라도 GA4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Google 에서도 될 수 있으면 GA3 버전과 GA4 버전을 함께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자~ 그럼 강의 제목처럼 구글 애널리틱스 4 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볼까 합니다.
사실, 이 강의의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 구글 애널리틱스는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다 ” 입니다.
4. 구글애널리틱스4 (GA4) 특징
정말 많은 부분들이 변경되었습니다.
어떤 부분들이 변경 되었는지 GA4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1 데이터 측정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Universal Analytics, GA3) 는 클라이언트 쿠키를 활용하여 페이지뷰, 소셜네트워크, 전자상거래 등을 분리하여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만약, 쿠키가 삭제되거나 다른 기기,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하였을 때는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예를들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 시 한번은 노트북으로 한번은 휴대폰으로 접속하면 자신은 1명이지만 GA는 2명의 사용자로 인식합니다.
또한, 한번은 크롬브라우저로 접속하고 한번은 엣지로 접속하는 것도 GA는 2명의 사용자로 인식합니다.
이로인한 혼란은 Google 에서도 인지하고 있었고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이를 최대한 통합해서 수집 하겠다는 생각으로 나온 버전이 GA4 버전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이를 위해 Google은 Browser Cookie, Login ID, Google Signal 기능을 활용하겠다고 발표 했습니다.
실제로, 기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GA3)와 구글 애널리틱스 4(GA4) 의 수집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 유니버설 애널리틱스(GA3)
웹사이트 내 활동하는 세션 내 발생하는 상호작용 (Hit : 히트)을 수집하는 방식
◆ 구글 애널리틱스 4(GA4)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수집하여 이벤트와 매개변수 로 제공하는 방식 (GA4 : 자동 수집 이벤트)
4.2 구글애널리틱스4 (GA4) 세션 수집
GA3와 GA4 에서는 세션 수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유를 살펴보면…
◆ 세션 수 차이점 (feat. 세션 수집 예외사항)
GA4는 캠페인에 대한 소스(타 도메인, UTM 파라미터 등)가 변경될 때 새 세션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반면, GA3는 소스가 변경될 때 새 세션을 생성하여 새션을 분리합니다.
GA4는 날짜가 바뀌는 시점, 예를들면 오후 11시 50분에 접속해서 세션이 생성되어 다음날 오전 01:10에 끝나는 경우라도 세션을 1로 계산합니다.
반면, GA3는 날짜가 바뀌는 시점, 새로운 세션을 생성합니다.
4.3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인사이트 제공
Google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전환 가능성이 크고, 어떤 고객이 잠재력이 높은지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 특정 기간 수익은 어떠했는가?
- 수익이 낮은 유입 트래픽은 어디인가?
- 사용자가 가장 많이 발생시킨 이벤트는 무엇인가?
- 전환 성과가 가장 좋은 페이지 혹은 이벤트는 무엇인가?
4.4 향상된 측정
GA4 설정 시 알려주는 향상된 측정 화면은 페이지 조회, 스크롤, 이탈 클릭, 사이트 검색, 동영상에 호응, 파일 다운로드 까지 총 6개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합니다.
필요없는 기능은 아래 화면처럼 스위치를 끄면 수집이 되지 않습니다.
- 페이지 조회
페이지가 로드(Load : PageView) 되거나 브라우저 방문 기록 상태를 변경할 때마다 페이지 뷰를 Google로 전송합니다. - 스크롤
방문자가 하단으로 스크롤 90%를 내릴 때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합니다. - 이탈 클릭
방문자가 현재 도메인에서 나가는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아웃바운드 클릭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합니다. 아웃바운드 클릭 이벤트는 현재 도메인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링크에 대해 발생합니다. - 사이트 검색
방문자가 사이트 내에서 검색을 할 때마다 검색결과 조회 이벤트로 기록됩니다. 기본적으로 검색결과 이벤트는 URL에 일반 검색 쿼리 매개변수가 있는 페이지가 로드될 때 발생합니다. - 동영상에 호응
사이트 내 동영상을 조회할 때 동영상 재생, 진행, 완료 이벤트로 기록됩니다. - 파일 다운로드
방문자가 일반 문서, 압축된 파일,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오디오 확장 프로그램에서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파일 다운로드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합니다.
4.5 구글 마케팅 플랫폼 연동 (GMP : Google Marketing Platform)
GA4는 Google의 광고 및 제품과 연동하도록 만들어져 있어 GA4 분석 정보를 활용해 Display&Video360, Google Ads, 애드센스 등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보통 사용법은 GA4에서 오디언스 리마케팅 목록을 만들어 Display&Video360, Google Ads에서 쉽게 타겟 오디언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4.6 빅쿼리 (BigQuery : Export)
빅쿼리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웨어 하우스(Data WareHouse) 입니다.
4.7 탐색 보고서
탐색 보고서는 구글 애널리틱스 유료버전인 “GA360” 에서만 제공되는 기능이었으나, GA4도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기본적인 차트 부터 시작해서 유입경로 분석, 세그먼트 중복 분석 등 총 12개의 템플릿이 제공되어 심도있게 분석이 가능해 졌습니다.
5. UA 와 GA4 데이터 관리
사실,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한 핵심입니다.
기존에 수집된 유니버설 애널리틱스(GA3)버전 데이터를 GA4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단, 예외사항이 있긴 하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GA4 속성을 생성하지 않으셨다면 하루라도 빨리 기본 데이터라도 수집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아니, 반드시 생성하세요.
아직까지도 많은 기업에서 GA4로의 전환을 실행하지 않고 있긴 하지만… 조금 지나면 본격적으로 움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립니다!! 아직까지 기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GA3)만 사용중인 기업 담당자님들은 하루빨리 GA4 속성을 추가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GA4를 잘 모른다고 생각이 들면.. ” 디애널리틱스 (The Analytics) ” 에서 GA4를 시작하시고 저와 함께 데이터 분석 마케팅 세계로 들어가 보시죠~
FAQ
GA4 사용이 유니버설 애널리틱스 (UA) 보다 더 어렵나요?
GA4가 반드시 UA보다 사용하기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여러 면에서 다릅니다 . 가장 어려운 점은 비슷하지만 다른 방식으로 기록된 새로운 레이아웃과 기능에 익숙해지는 것입니다.
유용성 측면에서 GA4의 과거 데이터 부족은 의심할 여지 없이 보고에 어려움을 겪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지금 GA4 속성을 설정해야 합니다.
GA4 데이터 스트림이란 무엇인가요?
GA4는 보기를 없애고 대신 데이터 스트림 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도입했습니다 . 데이터 스트림은 Google 애널리틱스 속성과 직접 연결되는 정보 소스입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 Android 앱 및 iOS 앱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데이터 스트림을 가질 수 있습니다.UA 시대에는 웹사이트와 앱에 대해 다른 속성이 필요했습니다. GA4를 사용하면 이 두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고 앱과 웹 모두에서 방문자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GA4 이탈률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이전에 UA에서 그랬던 것처럼 이탈률은 더 이상 GA4에서 측정항목이 아니며 이에 상응하는 ‘참여율’이 결정됩니다. GA4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GA4 보고서에 이탈률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GA4 이탈률은 단순히 참여율의 역수입니다.
1 Comment
GA4와 UA에 대해서 잘알게 되었고 다양한 기능이 많은 CA4가 궁금해짐 애널리틱스 = UA =CA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