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표준보고서 이상의 보고서 : 탐색 분석 보고서(2)
지난 강의에 이어서 계속해서 ” 탐색 분석 보고서 “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탐색 분석 보고서 첫 번째 강의를 수강 못하신 분들은 먼저 수강하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2. 표준 보고서 데이터를 탐색 분석 보고서로 확인
이번에는 표준 보고서 데이터를 탐색 보고서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GA4를 접하고 탐색 분석 보고서를 처음부터 만든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입니다.
탐색 보고서에 익숙해지기 전까지 표준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탐색 분석 보고서로 확인하는 편이 좋습니다.
2.1 탐색 분석 보고서 변환하기
[보고서] > [수명 주기] > [획득] > [트래픽 획득] 보고서로 이동합니다.
보고서 오른쪽 상단에
① [비교 수정] 을 클릭합니다.
비교 수정 영역 아래를 살펴보면 [탐색] 버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탐색] 버튼을 클릭합니다.
[탐색] 을 클릭하면 현재 보고서의 일부 측정항목과 측정기준은 탐색 보고서에 표시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표시됩니다.
① [다시 보지 않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트래픽 보고서가 탐색 보고서로 변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래픽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그래프가 동일하게 표시됨을 알 수 있습니다.
2.2 보고서 데이터 확인하기
이번엔 보고서 차트 형태를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트 왼쪽에 [탭 설정] 이라는 메뉴가 보일 것입니다.
① [시각화] > [지역 지도] 을 선택합니다.
차트 형태가 [테이블] 형태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 보고서에서 상단에 보시면 [탭] 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표로 표시되어 있던 보고서가 탑색 분석 보고서 (차트)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탭을 클릭하면 또 다른 탐색 분석 보고서로 변경됩니다.
이 때, 각 탭의 보고서를 조합하면 표준 보고서와 동일한 보고서가 만들어 집니다.
이는 우리가 탐색 분석 보고서 사용에 익숙해 진다면 표준 보고서를 확인하지 않고도 표준 보고서와 동일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가 탐색 분석 보고서로 표준 보고서 이상의 보고서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2.3 확인하고 싶은 데이터 정의하기
[변수] 영역에는 보고서에서 사용할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변수] 영역에는 측정기준으로 “세션 기본 채널 그룹” 을 사용하고 측정항목으로 “활성 사용자”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변수] 영역에서 사용하겠다고 선언한 데이터는 [탭 설정] 영역으로 끌어다 놓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보고서의 형태가 재구성되어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림을 다시 살펴보면, 탭 설정 영역에는 변수 영역에 선언되어 있는 “세션 기본 채널 그룹” , “활성 사용자” 등이 표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탐색 보고서에서는 변수 영역에서 사용하겠다고 정의한 데이터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면 탐색 보고서 사용이 굉장히 수월해질 것입니다.
2.4 데이터 정리하기
[그림 20] 에서 ” 활성 사용자 ” 10,000명 이상인 트래픽 소스만 보고 싶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보고서의 구조와 모양은 [탭 설정] 영역에서 결정할 수 있습니다.
[탭 설정] 영역 하단에 [필터]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필터]는 보고서에서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거(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① [측정기준 또는 측정항목 드롭 또는 선택] 을 클릭합니다.
② 측정항목에서 [활성 사용자] 를 클릭합니다.
③ 활성 사용자 [필터] 에서 “ ≥ 10000” 을 설정합니다.
④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탐색 보고서가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성 사용자” 가 1만 이상인 채널만 표시가 됩니다.
이번에는 “세션 기본 채널 그룹” 에서 채널 이름에 “Search” 가 포함된 채널만 표시되도록 하겠습니다.
① 세션 기본 채널 그룹에서 [필터] 를 “포함” , “Search” 라고 입력합니다.
②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Search” 단어가 포함된 채널인 “Organic Search” , “Paid Search” 가 표시됩니다.
이처럼, [필터]는 보고서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제한하는 기능을 합니다. 데이터를 탐색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필터에서 제공하는 옵션들을 하나씩 적용해보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도록 실습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5 보고서 이름 설정하기
원하는 탐색 보고서가 만들어 졌다면 다음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을 진행합니다.
탐색 보고서 왼쪽 상단의 탐색 분석 이름 영역에서
① 기존 이름 : 트래픽 획득 : 세션 기본 채널 그룹
② 새로운 이름 : 탐색 실습 보고서
이렇게 수정하시면 됩니다.
다시 탐색 분석 보고서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직접 만든 “탐색 실습 보고서” 보고서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탐색 분석 보고서 사용에 익숙해지면 우리가 원하는 보고서를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심도 깊은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유 형식의 보고서만 살펴봤습니다만, 실제 탐색 분석에는 다양한 보고서들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 학습을 진행하면서 알아보겠습니다.
FAQ
탐색 분석 보고서와 Looker Studio 중 어떤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사실, 제일 좋은 방법은 탐색 분석 보고서 보다는 BigQuery를 사용한 다음 이를 Looker Studio 에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Looker Studio 에는 커뮤니티 탬플릿 라이브러리와 같은 뛰어난 기능도 있어 구글이 설계한 제한 사항을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BigQuery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제어 및 변환하고 다른 소스에 결합하여 완전히 향상된 데이터 소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표준 보고서와 탐색 분석 보고서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표준 보고서는 기본적인 데이터 개요에 대한 내용을 표시합니다. 상세하게 분석하고 세그먼트, 측정기준, 측정항목 기준으로 데이터를 조회 하려면 탐색 분석 보고서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상세한 데이터를 확인할 때는 탐색 분석 보고서를 사용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